사용자의 정보, 사용자가 업로드 하는 데이터, 스트리밍 비디오 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를 곧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라고 부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분류와 이를 운영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분류
데이터는 크게 형식, 크기 등이 구조적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정형 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미리 정해져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스키마라고 부릅니다.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는 데이터 자체의 형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주로 정형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비정형 데이터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조화된 스키마가 존재하는 정형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관계형 DB는 이 스키마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합니다. 각 테이블은 사전에 정의된 스키마를 따릅니다. SQL이라는 언어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고, 여러 테이블 간의 관계 설정도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MySQL, PostgreSQL, Oracle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라고 부릅니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on-Relational Database)
반면 구조가 일정하지 않거나 자주 변경되는 데이터라면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더 적합합니다. 정해진 스키마 없이 유연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문서(document), 키-값(key-value), 그래프(graph)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수평 확장이 쉬워 대규모 트래픽 처리에 유리하고, 대표적으로는 MongoDB나 AWS DynamoDB 같은 서비스가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운영 방식
데이터베이스는 단지 어떤 종류를 쓰느냐뿐만 아니라, 어디에서 어떻게 운영하느냐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같은 MySQL을 쓰더라도, 서버를 직접 관리할지, 클라우드에 맡길지에 따라 운영 난이도와 비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온프레미스 (On-Premise)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물리적인 서버를 직접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초기 비용이 크고 유지보수에도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만, 보안이나 커스터마이징 측면에서는 유리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주로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거나 인프라를 세세하게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됩니다.
AWS EC2 기반 자가 구축
온프레미스보다는 유연하지만, 여전히 사용자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AWS의 EC2 인스턴스 위에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구조로, 클라우드의 이점을 누릴 수 있으면서도 세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보안 패치나 백업 같은 유지보수 작업은 여전히 사용자 몫입니다.
AWS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AWS RDS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설치부터 백업, 보안 패치, 장애 복구까지 대부분의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해주기 때문에 운영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스냅샷 기능을 통해 원하는 시점으로 복원이 가능하고, 여러 가용영역(AZ)에 데이터 복사본을 두는 Multi-AZ 구성을 통해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용도 온디맨드 방식으로 과금되어 초기 투자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습니다.
방식 | 설명 |
On-Premise | - 직접 물리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 - 초기 투자 및 유지 보수 비용 발생 - 높은 보안성, 커스터마이징 가능 |
AWS EC2 | - EC2 인스턴스에 직접 DB를 설치하고 운영 - 사용자가 직접 유지보수 |
AWS RDS | - 완전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백업, 보안, 장애 복구 자동화 - 운영 부담 감소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DAS, NAS, SAN과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0) | 2025.03.25 |
---|